여름철 필수 가전인 에어컨이 갑자기 작동을 멈추고 디스플레이에 알 수 없는 에러코드가 표시된다면? 당황하지 마세요! 대부분의 에어컨은 고장이나 이상 상태를 코드로 알려주며, 이를 통해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빠르게 조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LG, 삼성, 캐리어 등 주요 브랜드의 에어컨 에러코드와 함께, 코드별 원인과 간단한 해결 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에어컨 에러코드란?
에어컨 에러코드는 제품 내부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 해당 문제를 문자 또는 숫자 조합 코드로 표시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E1", "CH34", "F1" 등이 대표적입니다. 에러코드를 보면 어떤 부위에 문제가 있는지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스스로 점검하거나 수리기사 요청 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됩니다.
브랜드별 주요 에러코드 및 대처법
공통/캐리어 호환 모델 기준
에러코드 | 주요 원인 | 조치 방법 |
E1 | 실내기-실외기 통신 이상 | 통신선 연결 상태 점검 |
E2 | 실내기/실외기 모델 불일치 | 제품 모델 일치 여부 확인 |
E3 | 버튼 오작동 | 패널 리셋 또는 버튼 눌림 여부 확인 |
E4 | 실내 온도센서 이상 | 센서 위치 재정렬 또는 교체 |
E5 | 실내 팬모터 이상 | 이물질 제거, 팬 회전 확인 |
E8 | Wi-Fi 모듈 통신 오류 | 공유기 리셋, Wi-Fi 재연결 |
E9 | 실외기 팬모터 이상 | 실외기 주변 이물질 제거 및 점검 |
F1 | 실내 온도센서 점검 필요 | 센서 교체 필요 여부 확인 |
F2/F3 | 열교환기 센서 이상 | 센서 청소 또는 교체 |
EC | 냉매 누설 가능성 | 전문가 점검 요청 |
삼성 시스템 에어컨
에러코드 | 주요 원인 | 조치 방법 |
E101 | 실내기 온도센서 이상 | 센서 점검 또는 교체 |
E161 | 압축기 과부하 또는 이상 | 전원 리셋 후 미복구 시 서비스 요청 |
C138 | 냄새 센서 감지 불량 | 센서 청소 또는 교체 |
C497 | 실외기 팬모터 과전류 감지 | 팬 회전 이상 여부 점검 |
C498 | 실외기 팬 과열 | 외기 온도 및 청소 상태 확인 |
LG 휘센 에어컨
에러코드 | 주요 원인 | 조치 방법 |
CH21~CH34 | 일시적 오작동 코드 | 전원 리셋(차단기 OFF → 5분 후 ON) |
LED 점멸 | 통신 오류 또는 일반 에러 | 리모컨 재설정, 차단기 리셋 |
에러코드 리셋 방법
전원 차단 리셋
분전반에서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OFF → 3~5분 대기 → ON으로 복구
일시적 오류나 센서 리셋에 효과적
리모컨 초기화
설정 초기화 후 재등록 시 오류 해소
Wi-Fi 연결 문제
공유기 재부팅 또는 에어컨 앱에서 네트워크 재설정
에어컨 에러 예방 꿀팁
✔ 필터는 최소 2~3개월에 한 번 청소: 먼지로 인해 냉방 효율과 센서 오작동 발생 가능
✔ 실외기 주변 환기 확보: 덮개·이물질 방치 시 과열 또는 팬 에러 발생
✔ 정기 점검 받기: 여름철 가동 전, 한 번쯤 전문가 점검으로 누전·냉매 부족 확인
에어컨 에러코드는 제품 고장을 미리 알려주는 유용한 신호입니다. 위 표를 참고해 각 코드를 확인하고 스스로 점검을 시도해 보세요.
단, 전기·냉매 관련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 수리 서비스에 문의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에어컨의 건강도 챙기고, 시원한 여름을 준비해보세요!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나 가능한 쿠팡 손부업, 하루 2시간으로 돈 버는 현실 팁 (1) | 2025.04.22 |
---|---|
SH청약센터 청약 방법 공공분양·장기전세 신청 자격 총정리 (1) | 2025.04.11 |
자라 온라인 교환 환불 반품 배송 방법 (0) | 2024.12.10 |
gs편의점 반값택배 가격 및 조회방법 (0) | 2023.02.25 |
CU편의점 택배 비용 및 보내는 방법 (0) | 2023.02.24 |
최근댓글